Wave background

Silo

AI + Sound Visualization

2025

11월 (예정)

MR 디바이스·햅틱 장치 연동 가능성 검토 및 프로토타입 설계 문서화

기업 CSR 및 파트너십 네트워크 리서치, 환원 구조 설계 준비

9월

테라핀 MR 구현 MVP 개발

(악기의 물리적·기술적 장벽을 허문 시각화·햅틱 프로토타입)

8월

AI 기반 소리 → 파동 변환 알고리즘 설계 초안 완성

곡별 음원분석 시각화·추상화 연출 시나리오 작성

팀원 2명 카카오임팩트 프로그램 일원 선정, AUD 박원진 펠로우 자문 참여

농인을 위한 음악자료 렙 및 비전 프로 기반 UX 분석 진행

4월

자연음·클래식 등 음원 데이터 수집 및 샘플링 준비

주파수·진폭 단위 분석 및 시각화 데이터셋 구조 기획

2월

Silo 프로젝트 공식 출범

농인 대상 소리 시각화 MR 체험형 콘텐츠 기획 착수

팀 구성완료 | AI 엔지니어, UX 디자이너, XR 기획자, 경영 총괄

1월 (사전 준비)

농인의 문화적 소외 문제 정의 및 리서치 진행

유사 프로젝트·보조기술 사례 조사 및 벤치마킹

프로젝트 방향성 확정: AI 기반 시각화 + MR 경험을 통한 소리 체험

2024 겨울

팀 결성 및 초기 아이디어 논의

농인 커뮤니티 인터뷰 및 예비 사용자 조사

Silo 프로젝트 명칭 및 비전 수립

Silo Project HISTORY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청년 인문실험 '소셜' 분야 선정

소셜 벤처 기업 인증 (팀 내 AI 팀원)

ZERO1NE DAY 2022 전시 참여

인공 와우 착용자를 위한 '와우-플로'를 위한 소리 주미니

(팀 내 XR 엔지니어 팀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ZERO1NE
중소벤처기업부

지난 프로젝트

인공 와우 착용자를 위한 '와우-플로를 위한 소리 주미니' 스피커 디자인 및 제작

(팀 내 XR 엔지니어 팀원)

지난 프로젝트 - 와우-플로를 위한 소리 주미니

해당 스피커는 인공와우 사용자의 청감 훈련 연구를 바탕으로 작곡한 음악을 재생하고

그 소리 데이터를 시각 데이터로 전환한 영상을 함께 선보인다.

'소리 넓히기'는 난청인의 소리 인지 영역을 확장하도록 돕기 위해 작곡된 음악이다.

이 음악은 음의 높이, 크기, 길이와 같은 청감 재활에 필요한 요소들로 선율을 이루고, 복합음보다는

정현파의 음고와 음량 위주로 구성하여 이는 인공와우 사용자와 나누었던 음악적 교류의 과정인 음악을

'소리 주미니'라는 스피커에 담아 전시장으로 가져오고자 했다.

The Sound Visualization Lab

보이는 소리 시각화 연구/실험실 프로젝트

지난 프로젝트에서 Silo 팀은 소리 시각화를 VR에서 MR

프로젝트로 한 단계 더 구체화했습니다.

2025년 2월 - 농인 대상 소리 시각화 MR 체험형 콘텐츠 기획 착수

2025년 2월

농인 대상 소리 시각화

MR 체험형 콘텐츠 기획 착수

2025년 06월 - 주파수·진폭 단위 분석 및 시각화 데이터셋 구조 기획

2025년 06월

주파수·진폭 단위 분석 및

시각화 데이터셋 구조 기획

2025년 8월 - 테라핀 VR 구현 MVP 시연

2025년 8월

테라핀 VR 구현

MVP 시연

Project Goal
Interaction Flow

Silo 팀은 단순히 기술을 실험하는 수준을 넘어,

손의 움직임만으로 소리를 만드는 테레민의 특성을 살려 소리가 들리지 않아도

눈앞에서 빛과 파동으로 변하는 소리를 보고, 손끝에 전해지는 진동을 통해

음악을 몸으로 느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또한 자연의 새소리, 고전 음악, 현대 음악 등 다양한 소리를 수집·분석해

주파수와 진폭 단위로 쪼개고, 이를 시각적 파동으로 전환하는 AI 알고리즘의 기초를 마련하여

MR 환경에서 소리의 흐름이 입자와 곡선으로 살아 움직이는 기반을 만들었습니다.